Woojin Son, Jeongmin Lee
On the left is Golden City by 16-year-old artist Son Woojin. With a pure imagination that constructs his own worldview, Son explores themes such as wealth disparity, human attitudes toward life, diversity among people,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The golden city, born from the artist’s imagination, flows with symbols reminiscent of coding, representing a critique of materialistic capitalism.
The work on the right, Daylight Forest Village by student Lee Jeongmin, pays homage to Son’s piece. While adopting the same style of expression, it takes an intriguing turn by approaching an opposite theme. Whereas the city within the whale symbolizes material civilization, the village within the shape of a rabbit depicts warmth and nature, creating a contrasting atmosphere to the original. By presenting the dreamlike nighttime city alongside a bright and warm forest village, the artist intended for viewers to experience the contrasting yet complementary charms of both works.
왼쪽 작품은 16세 손우진 작가의 ‘황금도시’입니다. 순수한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세계관을 그려내는 손 작가는 빈부격차, 인간의 삶의 태도, 사람들의 다양성, 그리고 우리 문화의 중요성 등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작가의 상상력으로 탄생한 황금도시는 코딩을 상징하는 기호들이 흐르며, 황금만능주의적 자본주의를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을 오마주하여 제작된 오른쪽 작품은 이정민 학생의 ‘Daylight Forest Village’입니다.표현 방식은 그대로 차용했지만, 상반된 주제로 접근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고래 형태 안에 담긴 도시는 물질 문명의 상징이라면, 토끼 형태 안에 담긴 낮의 숲속 마을은 따뜻함과 자연을 표현하며 원작과는 대조되는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몽환적인 밤의 도시와 밝고 따뜻한 숲속 마을을 함께 감상하며, 두 작품이 주는 색다른 매력을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의도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