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latland Dream: Source

Jun 17, 2025

Society often perpetuates a rhetoric that feels the need to tightly link personal achievements and creative expressions to the inherent conditions their creators are born with. In the media, it is always an “autistic,” “neurodivergent,” or “intellectually challenged” individual who has “managed” to create something or push the boundaries of a field-framing their success as an exception rather than a testament to their talent. This subtle narrative can have deeper implications, potentially diminishing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 while reinforcing the biased assumption that such individuals inherently have a lower creative output, which is simply not true. There is a need for change within the rhetoric. Each creative individual is an artist, musician, writer, craftsperson, first and foremost. What they have happened to have been diagnosed with comes secondary to their work itself.

ABST is currently an organisation that creates art exhibitions focusing on collaboration between a wide range of students and youth autistic/disabled artists in Korea. It stands for Art Beyond Some Thresholds, a way of stating that personal expression, and all its various mediums, transcend the artificial boundaries that some create based on certain disabilities. The title for this year’s exhibition is “The Flatland Dream”. It is a reminder that an artwork is simply an aspect of oneself projected onto a flat canvas, serving as a landscape of ideas that define one’s individuality. It also serves as a reference to the book “Flatland: A Romance of Many Dimensions” by Edwin Abbott. The novel portrays a two dimensional world in which individuals are strictly divided based on the number of sides they consist of, and serves as a satirical reflection of our own society, and its countless attempts at dividing people based on a multitude of factors. I hope the Flatland Dream gets to serve as inspiration for us all to look beyond the lines we draw around one another and to celebrate each work simply as a window into a unique mind. All it takes is a shift in perspective to appreciate creativity as it is

우리는 사회 속에서 누군가의 성취나 창작 활동을 그 사람이 타고난 조건과 연결 지으려는 시선을 자주 마주합니다. 특히 언론에서는 “자폐인”, “신경다양인”, 혹은 “지적 장애인”이 무언가를 이루었을 때, 그것을 마치 특별한 예외처럼 소개하곤 합니다. 이런 방식은 그들의 재능 자체보다는, 장애를 가진 사람이 ‘어려움 속에서도 뭔가를 해냈다’는 식의 틀 안에 가두며, 결과적으로 작업의 본질적인 가치를 희석시키기도 합니다. 동시에 장애가 있는 사람은 창의력이 낮다는 잘못된 인식을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이제는 그런 시선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습니다.

창작자는 누구나 먼저 예술가이고, 음악가이며, 작가이고, 장인입니다. 그들이 어떤 진단을 받았는지는, 그들이 만들어낸 작품보다 앞서 이야기될 이유가 없습니다.

ABST는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한 전시 단체입니다. 다양한 학생들과 한국의 자폐 및 장애 청소년 예술가들이 함께 전시를 기획하며, 예술은 언제나 어떤 경계도 넘어설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합니다. ABST는 Art Beyond Some Thresholds의 약자로, 예술적 표현은 사람에게 씌워진 제한이나 기준을 뛰어넘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의 제목인 ‘The Flatland Dream’은, 작품이란 결국 평면 위에 투영된 작가의 일부분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했습니다. 하나의 그림, 하나의 사진, 하나의 설치물은 그 자체로 작가가 가진 생각과 정체성을 담은 풍경이기도 합니다. 동시에 이 제목은 에드윈 애벗의 책 『플랫랜드: 다차원의 낭만』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기도 합니다. 이 책 속 세계는 모두 2차원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형들은 자신이 가진 변의 수에 따라 나뉘고 차별받습니다. 이는 우리가 실제로도 다양한 기준과 조건으로 사람을 나누고 구분하는 사회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비추는 이야기입니다.

‘The Flatland Dream’은 우리가 서로를 구분 짓기 위해 만든 선 너머를 바라보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모든 작품은 누군가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해낸 특별한 예외’가 아니라, 그 자체로 독창적이고 빛나는 생각의 창입니다. 그 창을 통해 우리는 각자의 시선과 세계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결국, 시선을 조금만 달리하면 창의성은 본래의 빛을 스스로 드러냅니다.